본문 바로가기
경제스토리

무역 결제 시기 (사전, 동시, 사후)에 따른 결제 방법에 대한 설명

by jeffstory 2023. 7. 16.

무역결제는 무역거래에서의 대금결제를 의미하는 것으로 물품인도에 따른 대금의 지급이다. 오늘날 대부분의 무역대금결제는 환어음을 결제수단으로 하고, 신용장을 결제방식으로 한 환어음의 담보로 운송서류를 첨부하는 화환어음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무역거래는 실제 상품을 보지 못하고 구매를 확정하게 되고, 거래 금액이 크며, 분쟁이 생기면 해결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개인 간의 거래보다 더 큰 위험을 안게 되는데 무역 결제 시기 조건이 이 위험을 판매자와 구매자가 분담할 수 있게 한다.

 

무역 결제 조건은 사선지급 방식, 동시지급 방식, 사후지급 방식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사선지급 방식은 물품이 선적이나 수입자 측에 인도되기 전에 대금을 지급하는 방식이고, 동시지급 방식은 선적서류나 물품을 받을 때 지불하는 방식, 사후지급 방식은 물품이나 선적서류를 받고 난 뒤 지불하는 방식이다. 지불은 물품의 인도나 선적이 조건이 된다.

사전지급 방식의 대표적인 결제는 전신 송금 방식이라 불리는 T/T(Telegraphic Transfer)이다. 이것은 수입자가 수입국의 은행에 수출자의 계좌로 송금할 것을 요구하는 방식이다.

 

수입국의 은행은 수출국의 은행으로 연락해 수출자의 계좌로 송금해주고 in advance라는 조건이 붙으면 물건을 받기 전에 결제를 완료해야 한다는 뜻이 된다. 수입자의 입장에서는 물건이 선적 준비가 되기도 전에 결제부터 완납해야 하니 상품 품질이나 선적 지연에 대한 부담이 크다.

 

동시지급방식의 대표적인 결제는 D/P(Documents against Payment)이다. 이것은 서류 지급 인도 조건으로 추심방식이다. 간단히 말하면 수출업자가 먼저 돈을 달라고 요청하는 무역 결제 방식으로 수출업자가 선적한 후, 선적서류를 보내며 대급 지급을 요청하면 수입자는 선적서류와 돈을 교환하는 것이다. 사선지급 방식보다는 결제 시기가 늦지만 수입한 물건을 처분하기 전에 결제를 완료해야 해서 수입자가 부담을 느낄 수 있다.

사후지급방식의 대표적인 예는 D/A(Documents against Acceptance)이다. 이것은 서류 인수 인도 조건으로 D/P 방식과 유사하지만 수출업자가 은행을 통해 대금 결제를 요구하는 추심방식의 일종이다. 하지만 D/A는 수입자가 서류를 인도받고 서류가 만기되는 날 대금을 결제한다. , 물품을 인도했지만 결제가 완료되지 않아 수출업자가 부담을 느끼는 조건이다. 만일 수입업자가 결제일 전 부도, 파산으로 지불 능력이 없어질 경우 대금을 회수할 수가 없다는 위험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