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계약(trade contract)은 국제간에 이루어지는 물품의 매매계약으로 매도인이 매수인에게 물품의 소유권을 양도하여 인도할 것을 약정하고, 매수인은 이를 수령 후 일정 기일 내 그 대금을 지급할 것을 약정하는 계약이다.
무역계약은 매매계약을 주 계약으로 하고 운송계약, 보험계약, 외국환거래계약 등의 거래이행을 위한 종속계약을 수반한다.
무역계약은 법률, 언어, 통화가 다른 국가에 속한 당사자 간 물품의 국제적 이동이 전제되는 것으로 국내 거래와는 다른 특수성이 존재한다.

무역계약의 성립 과정은 다음과 같다.
1. 해외시장조사 및 거래선 발굴(overseas market research)
2. 거래권유 (circular)
3. 조회 (Inquiry)
4. 조회회신 및 신용조회 (reply to inquiry and credit inquiry)
5. 청약 (offer)
거래 당사자 한 쪽이 거래 조건을 상대방에게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계약을 체결하고 싶다 는 확정적인 의사표시를 하는 것.
6. 반대청약 (counter offer)
7. 확정청약 (firm offer)
8. 승낙 (acceptance)
청약에 대해 계약을 성립시킬 목적으로 피 청약자가 행하는 확정적 의사표시 - 유효기간 내 해야 계약이 성립 됨
9. 계약 성립 (formation contract)
'경제스토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선하증권과 해상화물운송장의 기능을 비교해 본다. (0) | 2023.07.12 |
|---|---|
| 인간존중, 혁신추구, 고객만족의 구체적인 실천사례를 찾아보고, 우수기업의 문화의 사례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을 알아본다. (0) | 2023.07.09 |
| 주변의 성공한 지속가능경영이나 공유가치창조경영의 사례를 통해 성공이유와 조직의 문제점은 무엇인지 살펴본다. (0) | 2023.07.09 |
| INCOTERMS 2020의 F그룹과 C그룹을 대상으로 각 조건을 사용하는 운송수단별로 구분하여 위험과 비용의 이전 시점을 중심으로 알아본다. (0) | 2023.07.06 |
| 평균-분산 모형, 가장 핵심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2) (0) | 2023.07.04 |